누가 참 제자인가?
누가 참 제자인가?

본문: 누가복음 18:31–43

 

31.예수께서 열두 제자를 데리시고 이르시되 보라 우리가 예루살렘으로 올라가노니 선지자들을 통하여 기록된 모든 것이 인자에게 응하리라
32.인자가 이방인들에게 넘겨져 희롱을 당하고 능욕을 당하고 침 뱉음을 당하겠으며
33.그들은 채찍질하고 그를 죽일 것이나 그는 삼 일 만에 살아나리라 하시되
34.제자들이 이것을 하나도 깨닫지 못하였으니 그 말씀이 감취었으므로 그들이 그 이르신 바를 알지 못하였더라
35.여리고에 가까이 가셨을 때에 한 맹인이 길 가에 앉아 구걸하다가
36.무리가 지나감을 듣고 이 무슨 일이냐고 물은대
37.그들이 나사렛 예수께서 지나가신다 하니
38.맹인이 외쳐 이르되 다윗의 자손 예수여 나를 불쌍히 여기소서 하거늘
39.앞서 가는 자들이 그를 꾸짖어 잠잠하라 하되 그가 더욱 크게 소리 질러 다윗의 자손이여 나를 불쌍히 여기소서 하는지라
40.예수께서 머물러 서서 명하여 데려오라 하셨더니 그가 가까이 오매 물어 이르시되
41.네게 무엇을 하여 주기를 원하느냐 이르되 주여 보기를 원하나이다
42.예수께서 그에게 이르시되 보라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느니라 하시매
43.곧 보게 되어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며 예수를 따르니 백성이 다 이를 보고 하나님을 찬양하니라


1. 본문 주석 (Luke 18:31–43)

 

누가복음 18:31–34는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세 번째로 자신의 고난과 부활을 예고하시는 장면이며, 18:35–43은 여리고 성 입구에서 한 맹인이 예수님께 믿음으로 치유받는 극적인 사건입니다.


18:31 "열두 제자를 데리시고...

"예수님은 마지막 고난의 여정을 앞두고 열두 제자를 따로 데리고 가십니다. 이는 단순한 이동이 아닌, 구속사의 정점을 향한 의도적 제자 교육의 시간입니다. "예루살렘으로 올라간다"는 표현은 단지 지리적 방향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계획 안에서 이루어지는 구속의 중심 무대로의 여정을 의미합니다.


18:32–33 "이방인들에게 넘겨지며...

"예수님의 고난은 단지 도덕적 수난이 아니라, 예언의 성취입니다. 조롱, 능욕, 침 뱉음, 채찍질, 죽임, 그리고 부활에 이르기까지 이사야 53장의 고난 받는 종의 예언이 문자 그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보여줍니다. 특히 "이방인에게 넘겨짐"은 당시 로마 통치 하에 유대 종교지도자들의 협력 구조를 암시하며, 구원의 범위가 유대인을 넘어서는 복음의 확장을 예시합니다.


18:34 "이 말씀을 하나도 깨닫지 못하였으니...

"제자들은 예수님의 말씀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이는 단순히 지적 이해 부족이 아니라, 영적 통찰력의 부재를 의미합니다. 당시 유대사회에서 기대하던 메시아는 정치적 해방자였기에, 예수님의 고난과 죽음은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시나리오였습니다. 이로 인해 예수님의 말씀이 감추어진 것처럼 보인 것입니다.


18:35–43 "여리고에서 맹인을 고치신 사건"

맹인의 외침 "다윗의 자손 예수여, 나를 불쌍히 여기소서!"는 예수님을 메시아로 고백하는 믿음의 외침입니다. 주변의 만류에도 그는 더 크게 부르짖습니다. 이는 육체적 시력 회복의 기적을 넘어, 영적인 눈이 열리는 상징적 사건으로 읽혀야 합니다. 예수님은 그를 멈춰 세우고, 단 한 마디로 응답하십니다.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느니라." 여기서 '구원하다(소조)'는 단순한 치유가 아닌 전인적 회복과 영적 구원을 의미합니다.


2. 해설: 고난의 길과 믿음의 시선

누가는 의도적으로 두 장면을 연결합니다. 예수님의 고난 예고와 맹인의 치유. 전자는 제자들의 영적 무지를 드러내고, 후자는 맹인의 영적 통찰을 보여줍니다. 제자들은 예수님을 직접 따라다녔지만, 여전히 고난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했고, 맹인은 육안으로 보지 못하면서도 예수님을 메시아로 알아봅니다.


이는 우리에게 중요한 메시지를 던집니다. 보는 것이 믿는 것이 아니라, 믿는 것이 보는 것입니다. 신앙의 여정은 육적인 눈을 넘어 영적인 시선으로 하나님의 뜻을 바라보는 길입니다. 하나님의 구원 계획은 종종 세상 기준과 어긋납니다. 예수님의 십자가 길은 실패처럼 보이지만, 그것이 구원의 승리였습니다.


맹인은 그 사실을 믿음으로 알아보았고, 그의 고백은 단순한 외침이 아니라 영혼 깊은 곳에서 터져나온 신앙의 선포였습니다. 그리고 그 믿음이 그의 인생을 바꿨습니다.

 

3. 묵상: 나는 보이는가, 아니면 보이지 않는가?

오늘 나는 제자인가, 아니면 맹인인가? 겉으로 보기엔 제자들과 함께 예수님을 따르는 것 같지만, 실상은 고난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한 채 자기 생각과 기대에만 갇혀 있는 것은 아닐까? 우리는 종종 신앙생활을 '보고 듣는 대로' 살아갑니다. 그러나 그 안에 진리를 보는 눈이 없다면, 우리는 여전히 맹인입니다.


맹인은 예수님의 얼굴을 본 적도, 기적을 목격한 적도 없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예수님의 정체성을 영으로 인식했습니다. 그 믿음은 그를 포기하게 하지 않았고, 사람들의 꾸짖음에도 굴하지 않고 더욱 외치게 했습니다.
그 외침은 예수님의 발걸음을 멈추게 했습니다. 온 우주의 창조자이신 예수님께서 한 맹인의 음성 앞에 멈추신 것입니다. 그리고 그에게 묻습니다. "내가 네게 무엇을 하여 주기를 원하느냐?"


이 질문은 오늘 우리에게도 던져집니다. 우리의 기도는 습관적이고 무의미하지 않은가요? 아니면 믿음에서 우러나오는, 예수님의 마음을 움직이게 하는 고백인가요? 나의 시선은 열려 있는가, 아니면 여전히 감겨 있는가?


4. 적용: 고난 앞에서도 신뢰하는 믿음

예수님의 말씀은 오늘 우리 삶에 매우 실제적인 적용을 줍니다.


첫째, 신앙은 고난을 피하는 것이 아니라 고난 속에서 하나님의 뜻을 신뢰하는 것입니다.예수님의 예루살렘 여정은 곧 십자가의 여정이었습니다. 고난의 길이었고 죽음의 길이었습니다. 하지만 그 길은 부활과 영광의 길이기도 했습니다. 오늘 우리가 겪는 어려움, 시련, 눈물도 예수님의 발자취 안에서 의미를 가집니다. 그것은 믿음으로만 볼 수 있는 길입니다.


둘째, 믿음의 외침이 회복의 출발점이 됩니다.삶이 막막할수록, 앞이 보이지 않을수록 더욱 간절히 주님을 부르짖어야 합니다. "다윗의 자손 예수여, 나를 불쌍히 여기소서!" 이 고백은 단지 응급한 외침이 아닙니다. 그것은 메시아이신 예수님을 향한 가장 깊은 믿음의 언어입니다. 이 고백이 우리의 기도 가운데 회복되고, 믿음의 능력으로 삶의 자리에서 역사하기를 바랍니다.


5. 기도

 

주 예수 그리스도여,
우리의 눈을 열어 주옵소서.
육안으로는 세상을 분별하면서도, 영적인 진리를 깨닫지 못하는 저희를 불쌍히 여기소서.
당신의 고난과 죽음, 그리고 부활의 길을 신뢰하게 하시고, 그 안에서 하나님의 뜻을 발견하게 하소서.
고난 앞에서 주저하지 않게 하시고, 삶이 캄캄할수록 더욱 주님의 이름을 부르짖는 믿음을 주소서.
맹인의 외침처럼, 저희도 진심으로 외치게 하소서:
"다윗의 자손 예수여, 나를 불쌍히 여기소서!"
주님, 저희를 멈추어 보시고, 저희의 인생을 회복시켜 주옵소서.
오늘도 믿음으로 주님의 길을 따르게 하시고, 눈 먼 마음에 빛을 비추어 주옵소서.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반응형


출처 및 참고 자료성경 본문: 

대한성서공회 개역개정 성경 https://www.bskorea.or.kr/
해설 참고:
NIV Application Commentary: Luke
NICNT: The Gospel of Luke (Joel B. Green)
존 스토트, 『하나님의 음성에 귀 기울이라』

 

추천 블로그 : https://iallnet.tistory.com/

 

2025년 국가건강검진 완전 정리 – 달라진 항목과 대상자, 놓치면 손해!

2025년,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은 더 정교하고 예방 중심의 건강 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국가건강검진 항목을 대폭 개편하였습니다. 이번 개편은 전 연령대를 아우르는 포괄적 건강

iallnet.tistory.com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구독, 광고크릭 꼭 부탁드립니다. 블로그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