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누가복음 20:41 – 21:4      찬송가 15장 "하나님의 크신 사랑" 바로 듣기

41.예수께서 그들에게 이르시되 사람들이 어찌하여 그리스도를 다윗의 자손이라 하느냐
42.시편에 다윗이 친히 말하였으되 주께서 내 주께 이르시되
43.내가 네 원수를 네 발등상으로 삼을 때까지 내 우편에 앉았으라 하셨도다 하였느니라
44.그런즉 다윗이 그리스도를 주라 칭하였으니 어찌 그의 자손이 되겠느냐 하시니라
45.모든 백성이 들을 때에 예수께서 그 제자들에게 이르시되
46.긴 옷을 입고 다니는 것을 원하며 시장에서 문안 받는 것과 회당의 높은 자리와 잔치의 윗자리를 좋아하는 서기관들을 삼가라
47.그들은 과부의 가산을 삼키며 외식으로 길게 기도하니 그들이 더 엄중한 심판을 받으리라 하시니라
1.예수께서 눈을 들어 부자들이 헌금함에 헌금 넣는 것을 보시고
2.또 어떤 가난한 과부가 두 렙돈 넣는 것을 보시고
3.이르시되 내가 참으로 너희에게 말하노니 이 가난한 과부가 다른 모든 사람보다 많이 넣었도다
4.저들은 그 풍족한 중에서 헌금을 넣었거니와 이 과부는 그 가난한 중에서 자기가 가지고 있는 생활비 전부를 넣었느니라 하시니라

1. 본문 주석과 배경 이해

누가복음 20:41-44
예수님은 “그리스도가 다윗의 자손이라 하는데 어찌하여 다윗이 그리스도를 주라 칭하였느냐?”라고 묻습니다. 이는 시편 110:1을 인용한 것으로, 당시 사람들이 그리스도를 단지 인간적 혈통인 ‘다윗의 자손’으로만 보는 시각을 반박하는 신학적 질문입니다. 예수님은 다윗조차 메시아를 “내 주”라고 부른 점을 지적함으로써, 메시아의 신성과 초월성을 강조하십니다.

누가복음 20:45-47
예수님은 그 자리에서 백성들을 향해 서기관들을 경계하라 하십니다. 그들은 외적 경건함과 사회적 존경을 갈망하지만, 속으로는 가난한 자들을 착취하고, 위선적인 삶을 살고 있었습니다. 특히 "과부의 가산을 삼키며"라는 표현은 당시 사회에서 가장 약자인 과부들에게서조차 이득을 취한 종교 지도자들의 부패를 고발합니다.

누가복음 21:1-4
예수님은 성전 헌금함에 헌금하는 사람들을 바라보시며, 많은 부자들과 한 가난한 과부를 비교하십니다. 부자들은 풍족한 중에 남은 것을 드렸지만, 과부는 자신의 생활비 전부인 두 렙돈(오늘날의 동전 두 개)을 드립니다. 예수님은 그녀의 헌신을 가장 큰 헌금이라 말씀하시며, 하나님 나라에서의 가치 기준이 세상의 기준과 얼마나 다른지를 보여주십니다.

2. 본문 해설 – 진정한 권위와 헌신의 가치

이 본문은 예수님의 공생애 중 마지막 주간, 십자가를 앞두고 종교 지도자들과의 치열한 논쟁 가운데 나온 말씀입니다. 예수님은 연이은 질문과 논쟁 끝에, 이제는 오히려 질문자로 나서서 메시아에 대한 잘못된 이해를 교정하십니다.

당시 유대인들은 다윗의 후손으로 오실 메시아가 정치적, 군사적 구세주로 이스라엘을 로마의 압제로부터 구원할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메시아가 단지 ‘혈통적 후손’이 아니라, 다윗조차 “주”라 부를 만큼의 영광과 권위를 가지신 분임을 밝히십니다. 즉, 메시아는 단지 인간이 아닌 하나님께서 보내신 구세주, 곧 신적 권위의 소유자이심을 드러내신 것입니다.

이어서, 예수님은 종교 지도자들의 위선을 비판하십니다. 그들은 겉으로는 경건하지만, 실상은 가난한 자들의 고통을 이용하고, 스스로를 높이려 합니다. 예수님은 그들의 외식적인 신앙을 강력히 경고하시며, 참된 경건은 오히려 작고 보잘것없는 자의 헌신 속에 있음을 보여주십니다.

그리고 바로 이어진 가난한 과부의 두 렙돈 이야기는, 세상의 눈으로 보면 가장 적은 헌금일지 몰라도, 하나님 보시기에 가장 귀한 헌신임을 선포합니다. 이는 하나님의 시각은 ‘양’이 아니라 ‘마음’의 전부를 드리는 태도에 있음을 가르칩니다.

3. 묵상 – 하나님께 드리는 전부란 무엇인가
오늘 본문을 묵상하면서 우리의 ‘예배’와 ‘신앙생활’이 무엇을 중심에 두고 있는지 질문하게 됩니다.

나는 과연 예수님을 단순한 문제 해결사나 기도의 응답자 정도로 여기는 것은 아닌가요? 혹은 종교 생활의 틀 안에서 안심하고 있지만, 정작 그리스도를 "내 주(My Lord)"로 고백하며 전적으로 따르는 제자의 길을 걷고 있는지는 반성하게 됩니다.

또한 예수님께서 가장 신랄하게 꾸짖은 자들은 로마가 아니라, ‘종교 지도자들’이었습니다. 그 이유는 그들이 하나님의 이름을 가장 많이 부르지만, 정작 가장 하나님의 뜻과 멀었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종교적 제도와 권위를 이용해 자신을 높이고, 약자를 억압하며, 외식하는 삶을 살았습니다.

우리의 신앙생활 속에서도 종종 이런 모습이 드러나곤 합니다. 헌금, 예배, 섬김이 하나님께 드리는 헌신이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보이기 위한 외적 행위가 되는 순간, 그것은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제사가 아니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가난한 과부의 두 렙돈. 그녀는 가진 전부를 드렸습니다. 우리는 때때로 하나님께 '남는 시간', '남는 돈', '남는 에너지'를 드리면서 스스로 헌신했다고 착각하곤 합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것은 '전부'입니다. 전부란, 물질의 크기가 아니라, 마음의 태도와 신뢰의 깊이입니다.

4. 삶의 적용 – 오늘 내가 드릴 수 있는 ‘전부’는 무엇인가

신앙의 초점 재정립하기
오늘 나는 예수님을 단지 문제 해결사로 생각하고 있는가, 아니면 주님으로 고백하며 전적으로 순종하고 있는가? 내 신앙의 중심이 ‘나’인지, ‘주님’인지 돌아보자.

내 신앙생활의 진정성 점검하기
예배, 기도, 봉사, 헌금 등 외적으로 하는 모든 일이 하나님께 향한 진심인지, 아니면 사람의 눈을 의식한 종교적 행위는 아닌지 돌아보자. 오늘 하루, ‘보여주기’가 아니라 ‘들려드리기 위한’ 삶을 선택해 보자.

과부의 렙돈처럼 삶의 우선순위를 하나님께 드리기
오늘 나의 시간 중 가장 좋은 시간, 나의 재능 중 가장 빛나는 부분, 나의 관심 중 가장 귀한 것을 하나님께 드릴 수 있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실천해 보자. 예를 들어 하루 중 가장 맑은 정신으로 드리는 묵상, 가장 먼저 드리는 기도, 내가 가진 재능으로 누군가를 돕는 일이 있을 수 있다.

가난한 자, 소외된 자를 향한 따뜻한 관심
예수님은 과부의 헌신을 귀하게 보셨습니다. 오늘 하루, 나보다 연약한 이들을 향한 작은 손길이 주님께 드리는 큰 예배가 될 수 있음을 기억하자. 주변의 어려운 이웃을 돌아보며, 작더라도 진심이 담긴 도움을 실천하자.

5. 기도
주님,
오늘 말씀을 통해 진정한 메시아가 누구신지를 깨닫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사람들은 외적인 권위와 혈통만을 보았지만,
주님은 다윗조차 ‘내 주’라 고백할 만큼, 신적 권위와 사랑의 왕이심을 보여주셨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눈이 자주 흐려집니다.
보여주기 위한 신앙, 채우기 위한 예배, 계산적인 헌신이
우리 삶에 자리잡고 있음을 고백합니다.

가난한 과부의 렙돈처럼
나의 마음 깊은 곳에서 우러나오는 정직하고 온전한 헌신을 드리게 하소서.
주님, 오늘 나의 가장 좋은 시간, 나의 가장 귀한 에너지,
나의 가장 진실한 생각들을 주께 올려 드리오니
주님 기뻐 받아 주소서.

주님께서 기뻐하시는 제자의 삶,
진실하고 순전한 믿음의 걸음을
오늘 하루도 걷게 하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반응형


출처:
대한성서공회 『개역개정 성경』 / 『매일성경』 2025년 4월호
말씀 인용 및 내용 참고: 성서유니온선교회, IVP 성경주석, John Stott's Commentary Series

♥ 읽어 보시고 유익하시면 블로그 유지에 도움이 되도록 "구독(무료)"과 "공감"을 꼭 눌러 주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