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압받는 민중의 목소리가 된 대주교, 정의를 위한 십자가를 지다

 
1. 시대의 불의 속에서 깨어난 양심
20세기 중반, 엘살바도르는 극심한 빈부격차와 정치적 탄압으로 신음하던 땅이었다. 부유한 소수의 지배계층은 군사력과 부패한 정치 구조로 권력을 유지했고, 가난한 농민과 노동자들은 폭력과 억압 속에서 삶을 연명해야 했다. 이러한 사회적 불의 속에서 한 대주교가 일어섰다. 바로 성 오스카 아르눌포 로메로(Oscar Arnulfo Romero).

성 오스카 로메로 대주교 (출처: vox.com)
성 오스카 로메로 대주교 (출처: vox.com)


1917년 엘살바도르 시우닷 바리오스에서 태어난 그는 전통적인 신학 교육을 받고 1942년 사제로 서품되었다. 로메로는 초기에는 신학적으로 보수적인 성향을 보였고, 정치와 거리를 두려는 태도를 유지했다. 그러나 그는 시대의 아픔과 억압 속에서 점차 ‘침묵하지 않는 양심’으로 깨어나기 시작했다.

2. 살해당한 친구, 정의의 불을 지피다
로메로의 인생을 바꾼 결정적 사건은 예수회 신부 루틸리오 그란데의 암살이었다. 가난한 농민들을 위해 헌신하던 그란데 신부는 1977년, 무장 민병대에 의해 공개적으로 살해당했다. 이 충격은 로메로에게 각성을 불러일으켰다. 그는 친구의 장례미사에서 다음과 같이 설교했다.

“그는 하느님의 말씀을 전했기에 죽었다. 우리가 그 진리를 외면하는 순간, 우리 역시 살인을 묵인하는 것이다.”

이후 로메로는 더 이상 침묵하지 않았다. 그는 일요일 라디오 미사를 통해 전국에 메시지를 전했으며, 정부의 인권 탄압과 군부의 폭력, 고문, 실종사건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가난한 이들의 대주교가 된 그는, 단상에서 끊임없이 외쳤다.

성 오스카 로메로 대주교 (출처: inmigracion.com)
성 오스카 로메로 대주교 (출처: inmigracion.com)


3. “군인들이여, 하느님의 이름으로 명령한다”
1980년 3월 23일, 로메로는 역사적인 설교를 한다. 그는 군인들에게 직접적으로 말한다.

“하느님의 백성을 향한 학살 명령은 따르지 마십시오. 군인들이여, 하느님의 이름으로 명령합니다. 그 부당한 명령을 중단하십시오!”

이 발언은 사실상 군부정권에 대한 공개 도전이었으며, 그의 죽음을 예고하는 선언과 같았다. 그리고 바로 다음 날, 1980년 3월 24일. 로메로 대주교는 산살바도르의 ‘신의 섬김의 소녀들’ 병원 경당에서 미사를 집전하던 중 저격병에 의해 암살당했다. 그의 피는 제대 위에서 흘렀고, 엘살바도르 국민들의 가슴에 정의의 불씨가 점화되었다.

4. 죽은 자가 아니라, 깨어난 자가 되다
로메로의 암살은 전 세계에 충격을 안겼다. 하지만 그 죽음은 오히려 수많은 이들에게 신앙과 정의의 결합, 침묵하지 않는 신앙인의 본보기를 심어주었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프란치스코 교황은 그의 삶과 죽음을 강하게 조명했고, 마침내 2018년 10월 14일, 로마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교황은 그를 두고 “가난한 이들과 함께하는 교회의 표지이며, 시대를 향한 양심의 목소리”라고 평했다. 그는 단지 엘살바도르의 순교자가 아니라, 전 세계 교회가 ‘사회 정의’와 ‘가난한 이들 편에 서는 것’이 복음의 본질임을 기억하게 만든 인물이었다.

5. 오늘의 우리에게 던지는 메시지
성 오스카 로메로는 말로서 정의를 말한 사람이 아니었다. 그는 칼에 맞서 십자가를 들었고, 두려움 대신 예언자의 용기를 택했다.

그가 반복한 한 마디는 지금도 울림을 준다.

“진정한 교회는 가난한 자들의 편에 서야 한다.”

이 말은 단지 정치적 선언이 아니다. 그것은 하느님의 사랑이 가난한 자 안에 있으며, 그 사랑은 반드시 행동으로 드러나야 한다는 신앙의 진실이다. 그가 설파한 사랑과 정의는 지금도 폭력과 억압 속에 신음하는 이들에게 희망이 된다.

그는 단지 죽은 순교자가 아니라, 살아있는 복음 그 자체였다.

마무리 – 고요한 혁명가, 하느님의 정의를 외친 이
성 오스카 로메로는 비명을 지르지 않았다. 그는 단지 고요하게, 그러나 단호하게 하느님의 뜻을 외쳤다.
그의 피로 적신 제대는 오늘도 우리에게 묻는다.
“당신은 지금 누구의 편에 서 있는가?”

다음 편 예고
[성인의 숨결, 오늘을 이끌다 시리즈 ⑧]
“절망 속의 희망 – 성 요셉 베네딕토 코토렐리오의 장애와 영적 투쟁”

 
출처
Vatican News, "Canonization of Saint Oscar Romero", 2018
Catholic News Agency – Biography of St. Oscar Romero
Romero Trust (http://www.romerotrust.org.uk)
프란치스코 교황 시성 교서, 2018년 10월
"Voice of the Voiceless" by María López Vigil

 
◆ 추천 블로그 소개 ( 아래 블로그 구독 해 주시면 무한 감사!! 꾸뻑~~!!)

◆ 읽어 보시면 유익한 글 소개

2025 여행 가이드 ㉓] 포르투갈 북부 여행: 포르투, 도우로강, 기마랑이스의 낭만

“포르투에서 기마랑이스까지, 와인이 흐르는 길” 1. 포르투에서 시작되는 낭만포르투(Porto)는 이름만으로도 한 잔의 와인을 마시는 듯한 도시입니다. 도시를 감싸 안고 흐르는 도우로(Douro)강,

iallnet.tistory.com

[사기 발생 시 신고 방법 시리즈 – ④편] 사기를 당한 후 감정 회복과 심리적 치유법

“사기당한 후 자책감과 불안? 감정 회복과 심리적 치유법 총정리”사기를 당하면 단순한 금전적 손해를 넘어서 마음 깊은 곳까지 상처를 입게 됩니다. 믿었던 사람에게 배신당했다는 충격, 어

iallnet4988.tistory.com

♥ 본 페이지의 글은 제작자의 경험과 견해를 여러 문헌을 통해 발췌(AI)하여 직접 제작, 편집, 이미지는 출처를 밝혔습니다.
♥ 
읽어 보시고 유익하시면 블로그 유지에 도움이 되도록 "구독(무료)"과 "공감"을 꼭 눌러 주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