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우리의 기억은 매번 달라질까 – 심리철학과 뇌과학이 말하는 ‘기억의 역설’"

베르그송과 현대 뇌과학이 말하는 기억의 역설
베르그송과 현대 뇌과학이 말하는 기억의 역설

기억은 과거의 복사본인가? – 베르그송과 뇌과학이 밝힌 기억의 진실


이런 순서로 글을 씁니다.
1. 기억은 ‘시간을 저장’하는가?
2. 베르그송의 지속(durée) 이론
3. 재현 vs 재구성 – 뇌과학이 보는 기억의 본질
4. 심리학이 말하는 기억 왜곡의 메커니즘
5. 기억의 윤리적, 존재론적 의미
6. 마무리 성찰 – 기억은 과거가 아닌 현재다

1. 기억은 ‘시간을 저장’하는가?

우리는 종종 과거의 일을 마치 사진첩처럼 떠올립니다. 

첫사랑의 눈빛, 어린 시절 여름 바다의 파도, 할머니의 손길. 그렇다면 이 장면들은 진짜 과거의 복제일까요? 아니면 지금 이 순간 만들어진 허상일까요?

기억은 단순한 저장이 아닌 시간의 해석과 재구성이라는 주장이 오래 전부터 철학과 과학에서 제기되어 왔습니다. 이 글에서는 앙리 베르그송(Henri Bergson)의 철학과, 현대 뇌과학 및 심리학의 연구를 바탕으로 기억이란 무엇인지, 그것이 과연 진실인지에 대해 깊이 있게 탐구해 보겠습니다.

2. 베르그송의 지속(durée) 이론

베르그송은 20세기 초 프랑스 철학계에서 시간과 의식의 본질을 주제로 독창적인 철학을 전개한 인물입니다. 그의 대표 저서 《물질과 기억》(Matière et Mémoire, 1896)에서 그는 이렇게 말합니다:

"기억은 단순히 과거를 저장하는 창고가 아니라, 현재와 맞물려 작동하는 의식의 흐름이다."

그가 말한 '지속(durée)'이라는 개념은 물리적 시간(시계 시간)과는 다른, 심리적·질적 시간을 뜻합니다. 우리의 기억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저장된 '기록'이 아니라, 의식의 흐름 속에서 현재와 함께 살아있는 시간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음악을 들을 때 우리는 그 음악을 순차적으로 청취하지만, 동시에 곡 전체의 분위기나 감정을 즉각적으로 인식하기도 합니다. 이처럼 시간의 질적 경험이 바로 베르그송이 말하는 '지속'이며, 기억 역시 이 지속 속에서 움직인다고 봅니다.

3. 재현 vs 재구성 – 뇌과학이 보는 기억의 본질

오늘날 뇌과학은 기억이 단순한 '기록의 불러오기(load)'가 아니라 재구성(reconstruction)이라고 설명합니다. 즉, 과거 사건을 불러오는 것이 아니라 매 순간 새롭게 만들어내는 창조적 과정이라는 것입니다.

뇌과학자 에릭 캔델(Eric Kandel)과 엘리자베스 로프터스(Elizabeth Loftus)의 연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 기억은 감정, 맥락, 기대에 따라 매번 다르게 불러와진다.
● 거짓 기억(false memory)은 놀라울 정도로 흔하며, 뇌는 허구를 진실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
● 기억은 해마(hippocampus)에서 장기 기억으로 전환되지만, 저장된 기억도 뇌의 다른 부분에서 재조합된다.
이는 곧, 우리가 떠올리는 기억이 '진짜 과거'가 아니라 현재의 맥락에서 재창조된 과거임을 의미합니다.

4. 심리학이 말하는 기억 왜곡의 메커니즘

심리학은 기억이 어떻게 왜곡되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어린 시절 나는 항상 외로웠다'는 기억은 그 당시의 객관적 현실이 아니라, 현재의 정서적 상태에 의해 형성된 해석일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기억 왜곡 유형
● 인출 후 왜곡(post-retrieval distortion): 기억을 떠올리는 순간 새로운 정보가 삽입됨
● 감정 기반 회상(emotion-based memory): 당시 감정이 과도하게 강조되어 사실과 다르게 기억됨
● 집단 기억(social memory): 타인의 말이나 문화적 내러티브에 의해 기억이 변형됨
따라서 기억은 개인적 주관성과 사회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심리적 산물이라 할 수 있습니다.

5. 기억의 윤리적, 존재론적 의미

기억이 진실을 담보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자신이 믿는 과거를 어디까지 신뢰할 수 있을까요? 이는 단순한 인지의 문제가 아닌, 자아와 존재의 문제로 이어집니다.

"나는 나의 기억이다"라고 믿는다면, 왜곡된 기억은 나의 정체성을 위협하는가?
● 우리가 기억하는 ‘상처’가 사실과 달랐다면, 그 치유는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
● 역사의 기억이 조작될 때, 공동체의 진실은 어떻게 보호될 수 있을까?
이처럼 기억은 윤리적 책임, 정체성, 사회적 진실성과 직결됩니다. 베르그송이 강조했던 '지속' 속의 기억은, 지속적으로 새로이 해석되는 존재로서의 나를 성찰하게 만듭니다.

6. 마무리 성찰 – 기억은 과거가 아닌 현재다

기억은 정적인 과거의 기록이 아닙니다. 매 순간 현재 속에서 새롭게 의미화되는 흐름, 그것이 기억입니다.
우리가 기억을 통해 과거를 본다고 믿지만, 실은 그 기억을 통해 지금 이 순간의 나 자신을 보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베르그송의 지속 이론과 현대 뇌과학의 연구는 다음과 같은 깊은 깨달음을 줍니다:

"기억은 과거의 창이 아니라, 현재를 이해하려는 마음의 거울이다."

다음 편 예고
[삶을 깊게 하는 인문학, 철학 제15편]
"나는 왜 나일까? – 자아정체성에 대한 철학적 탐구와 신경과학의 접점"
개인의 정체성은 고정된 실체일까, 아니면 흐르는 과정일까? 자아를 둘러싼 철학과 과학의 논쟁을 다룹니다.

 

출처
* 베르그송, 《물질과 기억》 (1896)
* Eric Kandel, In Search of Memory (2006)
* Elizabeth Loftus, The Myth of Repressed Memory (1994)
* 정재승, 《열두 발자국》 (2018)
* 김상욱, 《떨림과 울림》 (2018)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제 다른 글 소개

◆ 유익한 글 소개

 

[노래가사와 얽힌 고장의 이야기②]“내 생에 아름다운” – 김범수와 함께 걷는 통영의 언덕길

통영은 제가 좋아하는 여행지이고, 전에 업무관계로 자주 찾았던 곳이기도 합니다. 너무 아름답고 감성이 있는 도시이지요. 그 추억과 노래를 여기에 담아봅니다. "통영 언덕길을 노래하다 –

iallnet.com

♥ 이 글은 관련 문헌을 발췌(AI), 직접 제작, 편집, 이미지는 자체 제작.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