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이 순간은 존재하는가 – 철학과 과학이 다시 보는 ‘시간’의 본질”

영적 존재 이미지 형상화 (출처: kr.freepik.com)
영적 존재 이미지 형상화 (출처: kr.freepik.com)

 

1. 우리는 ‘지금’을 살고 있는가?
시간은 누구에게나 익숙한 개념입니다. 시계를 보면 시간은 흘러갑니다. 과거는 기억 속에, 미래는 예측 속에 존재합니다. 하지만 ‘지금’이라는 순간은 어떨까요? 우리가 '현재'라고 느끼는 이 순간은 과연 존재하는 걸까요? 아니면 시간은 그저 인간의 인식 속에서만 존재하는 허상일까요?

이 질문은 철학자와 물리학자 모두를 매혹시켜온 주제입니다. 특히 하이데거는 존재와 시간의 문제를 통해 인간 존재의 본질을 파고들었고, 현대 양자물리학은 시간이라는 개념 자체에 의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철학과 과학이 어떻게 '지금'이라는 순간을 바라보는지를 깊이 탐구해보겠습니다.

2. 하이데거의 철학 – ‘시간’은 존재의 방식이다
마르틴 하이데거는 『존재와 시간』에서 시간을 단순한 흐름이 아닌, 존재 방식이라고 규정했습니다. 그는 인간 존재를 'Dasein(현존재)'라 부르며, 이 존재는 과거-현재-미래를 동시에 품은 존재라고 보았습니다.

하이데거 (출처 중잉일보 자료실)
하이데거 (출처 중잉일보 자료실)

하이데거가 본 ‘현재’란?
하이데거에게 ‘현재’는 그 자체로 독립적인 실재가 아니라, 미래를 향한 계획과 과거의 기억 속에서 의미화된 하나의 지점입니다. 인간은 끊임없이 ‘다가올 미래’를 계획하며, 과거를 반성하는 존재입니다. 즉, 현재는 과거와 미래를 가로지르는 해석의 장일 뿐,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존재의 시간성과 ‘죽음’의 의미
하이데거 철학에서 인간의 시간 인식은 결국 ‘죽음을 향한 존재’에서 비롯됩니다. 인간은 유한한 존재이기에, 시간이 소중하며 현재를 의식적으로 살아가는 존재로 거듭납니다. 따라서 시간은 인간 존재에 필수적인 구조로, 시간의식이 없다면 인간다움도 존재할 수 없습니다.

3. 양자물리학의 충격 – ‘지금’이 없다?
과학은 시간에 대해 어떤 이야기를 하고 있을까요? 고전물리학에서는 시간이 절대적이고 균일하게 흐른다고 보았습니다. 그러나 현대 물리학, 특히 양자역학과 상대성 이론은 기존의 시간 개념을 완전히 뒤엎었습니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시간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것입니다. 예를 들어, 빠르게 움직이는 우주선에서는 시간이 느리게 흐르고, 중력이 강한 곳에서도 시간의 흐름이 달라집니다. 이는 ‘동시성’이라는 개념 자체가 절대적이지 않다는 뜻입니다. 누군가의 ‘지금’은 다른 이의 ‘지금’과 다를 수 있습니다.

양자역학과 시간의 붕괴
양자물리학에서는 더욱 급진적인 주장이 나옵니다. 일부 해석에서는 우주의 근본적인 수준에서는 시간 자체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고 봅니다. 물리학자 카를로 로벨리(Carlo Rovelli)는 『시간은 존재하지 않는다(There is No Time)』라는 책에서 시간은 인간 인식의 편리한 틀일 뿐, 우주의 기본 법칙 속에는 없다고 주장합니다.

이는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시간 개념과 놀라운 유사성을 보입니다. 시간은 우리가 삶을 해석하기 위해 만들어낸 개념일 뿐, 우주의 본질적인 실재는 아니라는 것이죠.

4. 시간은 흐르는가, 혹은 ‘존재’하는가?
철학과 과학은 서로 다른 언어로 말하지만, 공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통찰에 다다릅니다.

● 시간은 실체라기보다 관계이자 인식이다.
● ‘현재’는 절대적인 점이 아니라 경험과 의미의 연속선상에 있다.
● 과거-현재-미래는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 연결된 의식의 구조다.
시간이 흐른다고 느끼는 것은, 사실상 우리가 기억을 하고, 미래를 상상하기 때문입니다. 기억과 기대가 없으면 ‘현재’는 정지된 개념에 지나지 않으며, 우리는 시간의 흐름조차 인지할 수 없을 것입니다.

5. 일상의 질문으로 돌아오기 – 지금 이 순간을 어떻게 살아야 할까?
이 모든 논의를 종합하면, 우리는 ‘시간’이 아닌 **‘삶의 방식’**에 집중해야 한다는 결론에 다다릅니다. 시간이 실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과학의 주장, 현재가 그 자체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는 철학의 분석 모두 우리에게 이렇게 속삭입니다.

“지금이라는 순간을 인식하고, 선택하며, 살아가는 것은 결국 우리 자신에게 달려 있다.”

우리는 과거에 사로잡혀 있을 수도 있고, 미래에만 집착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이 순간이 우리의 의식과 존재로 의미화되고 있는 중이라는 사실입니다. 우리가 지금 이 순간을 어떻게 인식하고 살아가는지가 곧 삶의 깊이를 결정짓는 열쇠입니다.

6. 맺으며 – 시간은 없지만, 삶은 있다
‘시간’이 실재하지 않는다는 말은 ‘지금 이 순간’이 더욱 소중하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과학과 철학의 지평을 넘나들며, 우리는 결국 이 질문 앞에 서게 됩니다.

“당신은 지금, 어떻게 살고 있습니까?”

다음 편 예고
[삶을 깊게 하는 인문학, 철학 제12편]
“감정은 나인가? – 데카르트와 신경과학이 말하는 자아의 감정 지도”
감정은 나를 드러내는 것인가, 아니면 나를 속이는 것인가? 철학과 뇌과학이 함께 그리는 자아와 감정의 경계를 다음 편에서 다룹니다.

 
출처 및 참고자료
마르틴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
카를로 로벨리, 『시간은 존재하지 않는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상대성이론 관련 논문
이언 바버, 『과학과 종교』
BBC Future, “Is Time Real or Just an Illusion?”

◆ 다른 블로그 소개 (무료 구독 해 주시면 감사!! 꾸뻑~~!!)

◆ 읽어 보시면 유익한 글 소개

[생활정보 제17편] 주방 싱크대 물 막힘 – 기름 찌꺼기와 음식물 퇴적의 실전 대처법

“주방 싱크대 물막힘, 기름 찌꺼기 없애는 실전 노하우 총정리” 1. 싱크대 물막힘, 왜 자주 생길까? 주방 싱크대의 물막힘은 단순한 불편을 넘어 생활의 흐름을 방해하는 골칫거리입니다. 대부

iallnet.tistory.com

[삶을 바꾸는 습관 ⑪] 나만의 리듬 만들기 – 주간 루틴 플래너로 정리하는 인생

“주간 루틴 플래너로 인생을 설계하다 – 일상이 달라지는 리듬 만들기” 일상은 우리가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삶의 질이 극명하게 달라집니다. 바쁜 일상 속에서 ‘주간 루틴 플래너’는

iallnet77.tistory.com

읽어 보시고 유익하시면 블로그 유지에 도움이 되도록 "구독(무료)"과 "공감"을 꼭 눌러 주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