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인문학

[삶을 깊게 하는 인문학, 철학 ㊶] "최재서의 존재론적 문학이론 – 글로 존재를 증명하다"

주알리미 2025. 7. 28. 15:56
728x90
반응형

글로 존재를 증명한 사람

최재서의 존재론적 문학이론
최재서의 존재론적 문학이론

한 사람의 글에는 그 사람의 삶이 담깁니다. 아니, 그 사람의 ‘존재’ 자체가 투영되기도 합니다.
한국 근현대 문학 이론의 기초를 닦은 최재서 역시 그런 사람이었습니다. 그는 단순히 문학을 분석하거나 평가하는 비평가가 아니라, 문학이라는 언어를 통해 인간이 존재할 수 있음을 설명한 철학적 사유자였습니다.

 

그의 문학 이론은 단순한 기술이나 미학의 범주를 넘어, 인간이 어떻게 글을 통해 자신을 증명하고 세계와 관계를 맺는지를 질문합니다. 오늘날 디지털 언어가 넘쳐나는 시대에, 그의 사유는 더 깊은 울림을 줍니다.

오늘 주제에 맞는 성경 말씀

“태초에 말씀이 계시니라 이 말씀이 하나님과 함께 계셨고 이 말씀은 곧 하나님이시니라.”
(요한복음 1장 1절)

하나님의 창조는 말씀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말은 단순한 소리가 아니라, 존재를 일으키는 힘이었습니다.
최재서의 문학론도 이와 유사한 통찰을 공유합니다. 인간의 말, 곧 문학은 단지 표현이 아니라 존재를 증명하는 행위라는 그의 생각은, 이 말씀의 철학적 울림과 연결됩니다.

 

[성경공부와 적용, 묵상 2025-7-28] 애곡하는 자들의 후회 – 바벨론을 의지한 자들의 최후(계 18:9~19

어떤 무너짐은 눈물을 부르고, 어떤 무너짐은 진리를 드러냅니다.요한계시록 18장의 바벨론은 외형적으로는 찬란했지만, 그 안에는 탐욕과 죄악이 가득했습니다.그 바벨론을 의지하던 이들은

iallnet12.tistory.com

존재를 말하는 문학 – 최재서의 이론 핵심

1. 문학은 존재의 발화다

최재서는 문학을 '감정의 표현'으로 한정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문학을 통해 인간이 자기 존재를 말하고, 세계와 관계를 맺는다고 보았습니다.
글을 쓴다는 것은 단순한 서술이 아닌, 자신이 ‘존재한다’는 신호를 보내는 것입니다.
특히 침묵을 강요당했던 식민지 시기, 글쓰기는 곧 저항이었고, 인간됨의 증거였습니다.

2. 표현에서 발현으로

최재서가 문학을 보는 방식은 기존의 낭만주의적 시각과는 달랐습니다.
그는 문학을 ‘표현’이 아닌 ‘발현’으로 이해했습니다.
즉, 감정을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 존재의 내면이 언어로 직접 드러나는 것.
이러한 관점은 문학을 철학의 수준으로 끌어올렸고, 이후 한국 문학비평의 근간이 되었습니다.

반응형

3. 억압 속에서의 글쓰기

그가 살았던 시대는 한국어조차 자유롭게 쓰기 어려운 식민지였습니다.
하지만 그는 바로 그 시대에 문학이야말로 자유와 인간다움을 지키는 최후의 언어라고 믿었습니다.
억압된 시대일수록 문학의 가치는 높아졌고, 인간의 본질은 글을 통해 발화되었습니다.

왜 지금, 최재서를 다시 읽는가

우리는 오늘날 정보의 시대, 언어의 홍수 속에 살아갑니다.
하지만 그런 시대일수록 '언어가 정말로 존재를 드러내는가'에 대한 성찰이 필요합니다.
최재서는 그 질문에 대한 응답을 남겼습니다. 문학은 삶의 그림자가 아닌, 존재의 실체이며, 글을 쓴다는 것은 단순한 행위가 아니라 존재의 선언이라는 것.

그의 사유는 여전히 유효하며, 우리에게 묻습니다.
"당신은 지금 말하고 있는가, 아니면 단지 복제하고 있는가?"
그 질문은 언어의 혼탁함 속에서 스스로를 지키고자 하는 우리 모두에게 깊은 울림을 줍니다.

728x90
 

[삶을 깊게 하는 인문학, 철학 ㊵] 김수영의 자유 – 저항의 언어와 인간의 존엄을 노래하다

전후 한국 사회에서 ‘자유’라는 말은 종종 위태롭거나 추상적인 의미로 소비되어 왔다. 그러나 시인 김수영은 그 단어를 누구보다 뜨겁게, 그리고 고통스럽게 노래했다.그는 현실에 순응하지

iallnet12.tistory.com

다음 편 예고

[삶을 깊게 하는 인문학, 철학 ㊷] 장재호의 ‘실존적 언어 이해’

 

출처

최재서, 『문학과 인간』, 을유문화사

한국현대문학사, 김윤식

성경 (개역개정)

 

◆ View the English translation. Click below.

더보기

[Humanities and Philosophy That Deepen Life ㊶]
Choi Jae-seo's Ontological Theory of Literature – Proving Existence Through Writing

When Writing Becomes Existence

A person's writing often reflects their entire life.
In some cases, it reveals their existence.
Choi Jae-seo, one of Korea's foundational literary theorists, viewed literature not just as art but as a philosophical practice to explore and affirm human existence.

Living through the colonial era, Choi developed a theory that saw literature as a way for people to prove they exist. His work goes beyond aesthetics, touching on existential philosophy and the deep connection between language and being.

Bible Verse for the Day

“In the beginning was the Word, and the Word was with God, and the Word was God.”
(John 1:1)

This verse suggests that all existence began with the Word.
Choi Jae-seo’s belief that human existence is affirmed through language mirrors this message.
To write is not only to communicate but to confirm, “I am here.”

Literature as the Voice of Being

1. Literature as Existential Voice

Choi argued that literature is not a passive expression but the active voice of human existence.
Especially in colonial times, writing became an act of resistance and a way to declare one’s humanity.

2. From Expression to Manifestation

Unlike the romantic notion of writing as emotional expression, Choi emphasized that literature reveals the being itself.
It is not about describing feelings but about letting the human condition emerge through words.

3. Writing Under Oppression

In an era where even language was suppressed, Choi saw literature as the last tool for freedom and dignity.
Writing became an existential act, where the writer could reclaim identity and truth.

Why Choi Jae-seo Matters Today

In our digital, post-truth world, language is often diluted.
Choi reminds us that authentic language is not replication but revelation.
His question remains urgent:
"Are you truly speaking, or are you simply copying?"

This philosophical stance challenges us to reflect on how we use language to prove, protect, and project our existence.

 

Next Post Preview
In the next issue [Humanities and Philosophy That Deepen Life ㊷], we will explore Jang Jae-ho's theory of existential language and its literary implications. Verified to avoid overlap.

 

Sources

  • Choi Jae-seo, Literature and Humanity
  • Kim Yun-sik,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 Bible (NIV)


#ChoiJaeseo, #Ontology, #KoreanLiteraryTheory, #PhilosophyOfLiterature, #ExistentialLiterature, #ColonialEra, #LanguageAndBeing, #KoreanPhilosophy, #LiteraryCriticism, #AuthenticWriting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제 다른 글 소개

 

[주식! 개미의 반란 ㉟] AI가 고른 종목, 믿어도 될까? – 인공지능 추천주의 실체와 한계

데이터냐 감정이냐, 투자자의 딜레마요즘 투자 커뮤니티나 유튜브를 조금만 살펴보면 이런 말을 어렵지 않게 듣습니다."요즘 AI가 추천한 주식만 따라가도 수익 난다더라.""ChatGPT가 고른 포트폴

iallnet.com

 

[역사를 찾아 떠나는 여행지 ㉒] 조선의 숨결이 흐르는 길 – 전주 경기전과 태조 이성계의 어진

한옥 기와지붕 사이로 불어오는 바람, 조용히 울리는 나무바닥의 소리. 전주 한옥마을 안쪽 깊숙이 걸어 들어가면, 옛 조선의 기운이 살아 숨 쉬는 특별한 공간을 만나게 됩니다. 바로 태조 이성

iallnet.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