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오늘 새로운 문학 소식 ⑤] 문학의 힘, 경계를 넘다 – 여성서사부터 AI 문학 논쟁까지(7월 9~10일 국내외 문학계 핫이슈 정리)

바우울 2025. 7. 10. 15:52
728x90
반응형

7월 중순으로 접어드는 이 시기, 문학계는 무더위를 잊게 할 만큼 다채로운 움직임으로 활기를 띠고 있습니다. 여성 서사의 확장, 독서문화 진흥 정책, 그리고 인공지능 문학의 윤리적 논쟁까지, 한국과 세계를 아우르는 주요 문학 이슈를 정리해보았습니다. 오늘 소식에서는 문학이 사회적 경계를 어떻게 넘어설 수 있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봅니다.

7월 9일~10일 국내외 문학계 핫이슈 정리
7월 9일~10일 국내외 문학계 핫이슈 정리

오늘 주제에 맞는 성경 말씀
“무릇 지혜 있는 자의 마음은 지식을 요구하고, 미련한 자의 입은 미련한 것을 즐기느니라.” – 잠언 15장 14절
→ 문학은 시대를 통찰하는 지혜의 통로입니다. 이 말씀처럼 오늘도 문학은 우리에게 참된 지식과 방향을 제시합니다.

국내 문학계 핫이슈

‘여성서사 문학제’ 개막 – 문학에 말 걸기 시작한 여성들
지난 9일, 서울 대학로에서 '2025 여성서사 문학제'가 개막되었습니다. “나를 말하는 법”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문학제는 김금희, 정세랑, 이승우, 백온유 등 젊은 작가들과 함께 여성의 삶을 둘러싼 다양한 이야기들을 문학적으로 풀어냈습니다. 특히 페미니즘 소설과 에세이의 경계 넘기, 여성 고전 재해석 세션 등은 청중의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문학이 여성의 서사에 어떻게 귀를 기울이고, 또 그것이 사회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고민해보게 합니다.

반응형

 

전국 주요 도서관, ‘청년문학주간’ 기획
서울도서관, 부산시립도서관 등 전국 12개 공공도서관이 공동 주최하는 ‘2025 청년문학주간’이 7월 둘째 주부터 운영 중입니다. 청년 작가 초청 강연, AI시 창작 체험관, 문학굿즈 마켓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문학은 지금 여기 있다’라는 캐치프레이즈 아래 MZ세대의 문학적 감수성을 자극하고 있습니다. 이 행사는 지역 문학 활성화와 독서 문화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한국문학번역원, 우즈베키스탄에 한국문학 전문관 개관
한국문학번역원은 타슈켄트 국립대학교와 협력해 중앙아시아 최초의 '한국문학 전문자료실'을 지난 10일 개관했습니다. 이곳에는 한강, 박완서, 황석영, 김소월 등의 작품이 현지어 번역본으로 소장되어 있으며, 매년 한국 작가와의 교류 프로그램도 예정되어 있습니다. 한국문학의 세계화를 위한 기반 확대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입니다.

 

[주식! 개미의 반란 ㉒] 급등주 따라 샀다가 물렸다 – 테마주 투자, 왜 위험한가?

“요즘 이 종목, 난리래!”누군가의 한 마디로 시작된 호기심, 그리고 주식창에 찍힌 붉은색 ‘상한가’ 글씨.그 순간 머릿속은 빠르게 계산을 시작합니다.‘나도 지금 들어가면 한 방에 수익

iallnet.com

해외 문학계 핫이슈

AI 문학 논쟁 – 아마존 ‘AI 저작물 금지’ 지침 강화
아마존 킨들 플랫폼은 7월 8일, 인공지능이 작성한 문학 콘텐츠에 대해 더 엄격한 등록 기준을 발표했습니다. 저작권 문제와 표절 의혹이 계속 제기되는 가운데, 작가협회들이 “인간 창작의 존엄성”을 수호해야 한다며 AI 문학의 윤리적 기준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특히 미국작가협회(Authors Guild)는 AI 생성 작품을 별도 표기하도록 강제하는 법안 추진에도 나서, 이 문제가 단순한 트렌드를 넘어 출판계의 패러다임 전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노벨문학상 예측 리스트’ 유럽서 사전 유출 논란
스웨덴의 한 문학 전문 매체가 올해 노벨문학상 유력 후보로 미국의 루이즈 글릭, 일본의 무라카미 하루키, 콩고의 알랭 마방쿠 등을 지목하며 예측 리스트를 공개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문학상 후보는 50년간 비공개가 원칙인 만큼, 해당 보도에 대해 노벨위원회 측은 ‘사실무근’이라고 부인했으나, 문학계 내부에선 유출 경로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다시 읽는 오리엔탈리즘’ – 사에드 탄생 90주년 문학 학술대회
영문학자이자 문화비평가인 에드워드 사에드의 탄생 90주년을 맞아, 미국 프린스턴대와 영국 옥스퍼드대가 공동으로 문학학술대회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대회에서는 오리엔탈리즘 이후 세계 문학의 비서구 서사 확장, 포스트콜로니얼 문학의 정치성, 서구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이 집중 조명되며, 아랍·동남아·한국 문학 등 비유럽권 문학의 세계적 위치 재정립을 위한 담론도 형성되었습니다.

728x90

 

마무리하며
문학은 언제나 시대의 경계를 넘는 언어입니다. 여성, 청년, 인공지능, 비서구 등 오늘 소개된 키워드는 문학이 단순한 글쓰기를 넘어 어떻게 사회와 만나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우리는 지금 문학의 새로운 장면을 목격하고 있으며, 그 속에서 자신만의 독서 지도를 그려갈 수 있는 때입니다.

 

[오늘 새로운 문학 소식 ④] 김애란의 귀환, 번역시의 약진 – 7월 7~8일 국내외 문학계 핫이슈 정

오늘의 성경 말씀“사람이 떡으로만 살 것이 아니요, 하나님의 입으로부터 나오는 모든 말씀으로 살 것이라 하였느니라.” – 마태복음 4장 4절→ 문학은 단순한 활자가 아니라, 마음을 살리는

iallnet12.tistory.com

다음편 예고
[오늘 새로운 문학 소식 ] 7월 11~12일 국내외 문학계 핫이슈 정리

 

[사기예방 연구소 뉴스레터 ⑥] 7월 10일 – 오늘의 보이스피싱·다양한 사기 사건과 실전 대응법

7월 10일, 오늘도 평범한 일상 속에서 누군가는 사기를 당하고 있습니다.보이스피싱은 더는 단순한 전화 한 통이 아닙니다. AI가 목소리를 흉내 내고, 이메일로는 가짜 계약 링크가 날아오며, 중

iallnet4988.tistory.com

출처

한국문학번역원 공식 보도자료 (2025.7.10)

연합뉴스 문화면 (2025.7.9)

아마존 킨들 출판 가이드 개정안 (2025.7.8)

Authors Guild 공식 성명 (2025.7.9)

프린스턴대 사에드 학술세미나 자료 (2025.7.9)

서울신문, 경향신문, BBC 문학 섹션 (2025.7.9~10)

 

◆ View the English translation. Click below.

더보기

[Today’s Literary Brief ⑤]
“The Power of Literature Across Borders – From Feminist Narratives to the AI Writing Debate”
(July 9–10, Global and Korean Literary Highlights)

 

Today’s Bible Verse
“The heart of him who has understanding seeks knowledge, but the mouths of fools feed on folly.” – Proverbs 15:14
→ Literature reveals wisdom, much like today’s verse. It seeks truth and knowledge, not mere distractions. In this spirit, today’s literary news offers insight into literature’s social relevance.

 

Introductory Note
As we enter mid-July, literary currents are surging with energy. From feminist storytelling to AI ethics, from public reading campaigns to global recognition of Korean literature, recent news shows how literature is crossing boundaries—geographical, generational, and technological. Let’s explore the latest developments at the heart of the literary world.

 

Korean Literary Highlights

Opening of the 2025 Feminist Narrative Literary Festival
Held in Daehak-ro, Seoul, this year's festival titled “Ways to Speak Myself” featured acclaimed authors like Kim Geum-hee, Jeong Se-rang, Lee Seung-woo, and Baek On-yu. Discussions spanned the re-interpretation of feminist classics, cross-genre experimentation, and the intersection of womanhood and writing. The event reflected literature’s evolving role in capturing and reshaping social narratives.

Youth Literature Week Kicks Off at Public Libraries
Twelve major public libraries across South Korea, including Seoul and Busan, launched “2025 Youth Literature Week” with the slogan “Literature is Here and Now.” Events include author talks, AI poem generators, and a literary goods market aimed at inspiring the MZ generation. The initiative is expected to revitalize reading culture and local literary scenes.

Korean Literature Section Opened in Uzbekistan
On July 10, the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LTI Korea) opened its first Korean literature archive at Tashkent State University. Featuring translated works by Han Kang, Park Wan-seo, Hwang Sok-yong, and Kim So-wol, the collection is part of a broader effort to promote Korean literature globally. Future author exchange programs are also planned.

 

Global Literary Highlights

Amazon Tightens Rules on AI-Generated Literature
Amid growing plagiarism concerns, Amazon Kindle announced stricter submission guidelines for AI-authored content. The Authors Guild of America has responded with a call for transparency, proposing that AI-generated works be distinctly labeled. Ethical boundaries and creative ownership are now at the forefront of the global literary debate.

Nobel Prize Prediction List Leak Raises Eyebrows
A European literary journal allegedly leaked names from the 2025 Nobel Literature shortlist—Haruki Murakami, Louise Glück, and Alain Mabanckou among them. Though the Swedish Academy dismissed the report, the incident reignited controversy around transparency and speculation in literary prize culture.

Edward Said 90th Anniversary Conference Highlights Postcolonial Literature
Princeton and Oxford co-hosted an academic symposium marking the 90th anniversary of Edward Said’s birth. Scholars revisited Orientalism, debating postcolonial literature’s evolution and the role of non-Western narratives. Discussions emphasized literary decolonization and inclusion of Southeast Asian and Korean works in the global canon.

 

In Closing
Literature is not confined to ink and paper—it traverses gender, geography, and generation. From feminist voices and youth engagement to the ethical dimensions of AI authorship, this week's news showcases literature's enduring vitality and adaptability. It invites us not only to read, but to think, question, and imagine new worlds.

 

Next Edition Preview
[Today’s Literary Brief ⑥]
Global and Korean Literary Highlights, July 11–12

 

Sources

  •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July 10, 2025)
  • Yonhap News (July 9, 2025)
  • Kindle Direct Publishing Policy Update (July 8, 2025)
  • Authors Guild Official Statement (July 9, 2025)
  • Princeton University Event Archive (July 9, 2025)
  • BBC Literature Section, Seoul Shinmun, Kyunghyang News (July 9–10)

 

 

#feministnarrative, #AIwritingethics, #youthliterature, #literaryfestival, #Koreanliterature, #translationworks, #Nobelliterature, #EdwardSaid, #postcolonialstudies, #publiclibrary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제 다른 글 소개

 

[남녀 청·장년 건강관리 ⑳] 잠들기 힘든 밤 – 불면증과 생활습관의 상관관계

밤이 되면 조용해져야 할 세상이, 오히려 더 시끄럽게 느껴지는 순간이 있습니다.눈은 감았지만 마음은 쉬지 못하는 밤, 뒤척이다 결국 스마트폰을 다시 들여다보는 날들.‘잠들기만 하면 괜찮

iallnet7.tistory.com

 

[삶의 질을 바꾸는 운동 ⑤] 앉아만 있어도 자세가 무너진다 – 올바른 앉기와 허리 건강 습관

하루의 절반 이상을 우리는 ‘앉아서’ 보냅니다. 출근길 지하철, 사무실 의자, 점심시간 식당, 퇴근 후 소파나 침대까지. 앉는 자세는 너무나 익숙해서 오히려 그 중요성을 잊기 쉽습니다. 하지

iallnet77.tistory.com

728x90
반응형